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방어기제의 종류 (defense mechanism)

by 유줄리 2021. 11. 10.

방어기제

오랜 기간 동안의 발달과정을 통해서 인간은 스트레스에 대해 자신을 방어하고 갈등을 일으키는 충동들을 타협시키며 내적 긴장을 완화시킬수있는 다양한 심리적 기술을 얻게 된다. 이것들은 무의식적으로 선택되는 자동적인 자아기능이다 이를 방어기제라 한다. 대응전략과 다소 구별되기는 하지만 정확히 구분하기는 어렵고 서로 중첩되는 점이 많다. 즉 방어기제에도 긍정적 또는 적응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있다. 우리들 모두는 정상인이든 환자이든 일상속에서 이러한 방어기제들을 사용하머 살아가고 있다.

 

1. 억압과 억제

억압(repression)은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가장 흔히 사용되는 무의식적 정신기제다. 즉, 용잡되지 않는 욕구나 충동 사고등을 의식밖으로 몰아내서 무의식속에 두는 것이다. 반면에 받아들이고 싶지않느 욕구나 기억을 의식적으로 이증려고 노력하는 것은 억제(suppressin)라 한다.

 

2. 동일시

동일시(identification)란 대상이 지니고 있는 여러가지 속성을 자기의 것으로 획득하게 되는 심리과정이다. 우리는 가족 내의 여러 구서우언들을 통해 또는 주변 사람들을 보며 다양한 역할을 동일시해 나가는데, 이는 자아와 초자아를 건강하게 성장시키는데 꼭 필요한 정신기제다. 문제가 된느것은 병적인 동이시다. 예를 들면, 구타자와의 동일시로 맞고 자란 아들이 때리는 아버지가 된다는 것이다.

 

3. 반동형성

용납할 수 없는 감정이나 충동 또는 성향과 정반대로 행동하는 것을 반동형성이라 한다.

예를들어, 여자를 좋아하고 사귀고 싶은 욕구가 강한 사람이 "나는 여자를 싫어한다"라고 한다든지, 음란스러운 생각을 많이 하고있는 사람이 오히려 음담패설을 하는 장면에서 이를 비난하며 지나치게 혐오스러운 감정을 지니게 되는 경우다.

 

4. 보상 

실제적인 것이나 상상적인 한 영역에서의 결함을 상홰하기 위하여 다른 분야에서 힘을 발전시키는 것을 보상(compensation)이라한다. 의식적인 경우도 있으나 대개는 무의식적이다. 문제는 무의식적인 수준의 보상인데, 작은 고추가 맵다는 속담처럼 체구가 ㅈ가아 열등감이 있을 때 이를 보상하기 위해 자신이 작은 키에 열등감이 지나고 있다는 생각은 전혀 안하는 것처럼 하면서 지나치게 우월하게 보이고자 하거나 아주 공격적이고 지배적인 모습을 지니게 되는 경우다.

 

5. 합리화

합리화(rationalization)는 자주 사용되는 방어기제의 하나로서 자신이 지나고있으면서도 받아들이고 싶지 않은 충동이나 행동 또는 개인적 결함을 정당화시키기 위하여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그럴듯한 설명이나 이유를 대는 것이다. 이는 주로 죄책감을 막고 자존심을 유지하며 비판에서 스스로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6. 대치

얻고자 하는 목적이 좌절되었을 떄 다른것으로 대신하여 만족을 얻는 것을 대치라 한다

꿩대신 닭이라든가 실연당한 사람들이 음식물을 과하게 섭취하는 경우가 이에 속한다.

 

7. 전치

중립적이며 위협적이 아닌 목표물을 향해서 긴장을 해소하거나 또는 증오감을 표현하는 것을 전치(displacement)라 한다 동쪽에서 뺨맞고 서쪽에서 화풀이한다는 속담처럼 부모에 대해 불만이 많은 형이 동생을 때리며 못살게 군다거나 직장에서 상사에게 자존심이 상한 사람이 집에와서 식구들에게 화를 내는경우다.

 

8. 투사

자기 자신이 지나고 있으면서 자신이 받아들일 수 없는 충동이나 속성을 타인의 것으로 돌리거나 자신의 실패를 타인의 탓으로 여기는 것을 투사(projection)라 한다. 이유없이 어떤 사람이 매우 싫을 때 그가 자기를 몹시 미워하기 때문에 자신이 그를 싫어한다고 이야기하는 식의 행동에서 볼수있다. 착각 환각은 투사에 의한 현상이다 또한 관계망상 피해망상을 비롯한 여러가지 망상형성도 투사에 의해 야기된 기제이기도 하다.

 

9. 상징화

억압된 생각이나 충동 또는 소원을 어떤 표상으로 전치시키는 것을 상징화(synbolization)라 한다. 즉 상징화는 무의식의 언어라고 볼 수 있다. 꿈 공상 신화 농담 등도 상징화의 가장 흔한 예가 된다. 보편적 상징이란 많은 사람드렝게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상징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길게 팽창하는 것이나 뱀 등이 남근을 상징한다는 것 등이다.

 

10. 분리

고통스로운 불안을 일으키는 느낌을 막아내기 위하여 감정을 경험하지 않으면서 또는 냉정한 태도를 취하면서 외상적 사건을 기억해 내는 것을 분리라 한다. 심하게 구타당한 아내가 그 구타행동들을 담담하게 마치 자신이 경험한 일이 아닌듯 말하면서 그때 겪었던 분누와 공포의 감정은 못느끼는 경우다.

 

11. 부정 

엄연히 존재하는 위험이나 불쾌한 현실에 눈을 감음으로써 불안을 회피하고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부정이라 한다. 따라서 이기제는 자아기능을 분리시킴으로써 나타난다.예를 들어 불치병에 걸렸다는 이야기를 들은 후 의사의 진단을 오진이라며 자기 병을 부정하는 경우다.

 

12. 승화

원시적이고 용납되지 않는 충동을 충분히 해결하지 못할 때 그 충동에 내재되어있는 에너지를 변형시켜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건설적이고 유익한 목적으로 표출시키는 기제를 승화라 한다 방어기제중 가장 건전하고 바람직한 기제다. 

승화는 각종 예술 문화 종교 과학 및 직업적 성취를 통해서 나타난다

 

13. 고착과 퇴행

어떤 스트레스에 부닥칠 때 인격발달과정이 중단된 상태를 고착이라한다 또한 그 스트레스와 상관없는 그 이전의 어린 단계로 되돌아가는 것을 퇴행이라 한다. 대개 퇴행하게 되는 그 단계를 바로 고착된 단계로 본다. 좋은 예로 소변을 잘 가리던 아이가 동생이 태어난 이후 다시 소변이나 대변을 가리지 못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14. 해리

인격의 부분들 간에 의사소통이 잘 이뤄지지 않을 때 괴롭고 갈등을 느끼는 인격의 일부분을 다른 부분과 분리시키는 것을 해리라 한다 예로서 한사람 안에서 여러인격을 보이는 이중 인격 또는 다중인격 몽유병 등을 들수 있다.

 

15. 반복강박

경험으로 배우지 못하고 계속 일정한 병적 행동양상을 반복하는 것을 반복강박이라 한다. 이는 무싀식이 주로 행동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미숙한 자아는 실패를 거듭하면서도 같은 행동양상을 되풀이하기쉽다. 예를 들어 구타당하고 산 여인이 이혼 후에 다시 때릴 가능성 있는 남자에게만 매력을 느낀다든지, 계속 결혼에 실패하는데도 전과같이 알코올 중독자와 결혼하는 경우다.

 

 

출처 이상심리학 최정윤 박경 서혜희 공저